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TOP

 

교수진

장승일 명예교수

전공불어학
이메일jsi@snu.ac.kr

논문

    • Connecteurs interphrasticques pour la coherence textuelle en français et en coréen Université de Paris-Sorbonne, 불어학 박사학위 논문(1984-1985)
    • <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?>, 「언어학과 인지」, pp.708-734, 김태옥교수화갑기념논총, 한국문화사, 1992.
    • <우리는 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?>, 「프랑스어문교육」 제2집, pp.219-238, 박옥줄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, 프랑스어문교육학회, 1994.
    • <우리는 상에 대해 적어도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?>, 「프랑스어문교육」 제3집, pp.91-100, 프랑스어문교육학회, 1995.
    • <상은 어디에서 비롯될까?’, 「프랑스어문교육」 제4집, pp.31-57, 프랑스어문교육학회, 1996.
    • (Teaching French Conjunction and Text Grammar), pp.99-116,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, 1997.
    • <상은 왜 있는가?>, 「프랑스어문교육」 제5집, pp.153-177,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, 1997.
    • <텍스트의 정합성과 담화의 관여성- Sperber/Wilson의 “관여성 이론”에 대한 텍스트 언어학적 이해>「프랑스어문교육」 제6집, pp.173-202,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, 1998.
    • <프랑스어 시제의 학습과 지도(1)>, 「외국어교육연구」 제1집, pp.71-110,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외국어교육연구소, 1998.
    • <내재상과 초월상 그리고 “-는다”와 “-았” -한국어의 시제와 상(6)->, 「프랑스어문교육」제7집, pp.115-136,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, 1999.
    • <시제의 해석을 위한 통사적 구조 -한국어의 시제와 상(7)->, 「프랑스어문교육」 제14집, pp.113-146,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, 2002.
    • <시간 논항과 다중 지정어>, 「프랑스어문교육」제18집, 2004, pp. 265-293
    • (L2 프랑스어 학습을 위한 생성문법적 접근), 「프랑스어문교육」 제19집, 2005, pp.135-165
    • (Sequence of Tense and 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), 생성문법연구 Vol. 15, No. 3, 「한국생성문법학회」, 2005, pp. 359-373